티스토리 뷰

4차산업혁명이란 말만 보아도 이 책 제목처럼 이공계에서 미래를 찾게 된다.과학기술분야는 날로 발전하고, 이공계열 학과의 취업률이 높은 것만 봐도 미래사회에 대한 준비는 이공계에 답이 있어 보인다.그래서 진로와 직업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이 책에서 1~4장까지는 이공계 인재를 다루고 있다.위 사진은,  존 찰스 필즈 라는  캐나다의 수학자로  수학의 노벨상 이라고 불리는 필즈상 제창자에 관한 것이다.수학은 답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문제해결능력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문제해결능력이란 스스로 생각하는 힘에서 출발하는데,이는 수학 분야뿐만 아니라 인생의 모든 영역에 걸쳐서 중요한 능력이라고 생각한다.필즈상 메달에 새겨진 문구처럼 "스스로를 극복하고 세계를 움켜쥐어라!"를 이 책을 읽는 학생들이 마음에 새겼으면 좋겠다.그리고 5장에서는 이공계 유망 분야를 다루고 있다.  위 사진은 소프트웨어 분야인데, 학생들이 각 분야별 관련 직업 분야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해서 매우 유익하다고 본다.진로를 탐색하는 중학생들이 이 책을 읽어보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상상을 현실로 만들 이공계 인재의 조건은 무엇일까?4차 산업혁명 시대, 이공계 인재의 비전을 제시하다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이긴 ‘알파고 쇼크’에 이어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뤄지는 ‘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그 어느 때보다 이공계와 미래 과학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공계에서 미래를 찾아라 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 갈 십대들에게 꼭 필요한 ‘미래 핵심 역량’과 ‘과학기술 소양’ 스무 가지를 소개하는 이공계 맞춤형 진로 도서다. 이공계 인재를 꿈꾸는 십대라면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인재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과 준비를 기울여야 하는지 실질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시작하는 글

1장. 생각하는 이공계 인재
첫 번째 키워드 _ 지적 호기심 - 오늘 하루 난 무엇이 궁금했을까?(정재승)
두 번째 키워드 _ 상상력 - 상상하라! 오늘의 엉뚱한 상상이 미래엔 현실이 되어 있을 것이다(쥘 베른)
세 번째 키워드 _ 창의성 - 미래 사회는 창의적인 인재를 원한다(테오 얀센)
네 번째 키워드 _ 논리적 사고 - 논리적인 사람은 실패가 적으며, 실패의 논리로 성공을 이끈다(엔리코 페르미)
다섯 번째 키워드 _ 의사소통 - 자신을 드러내는 길은 소통뿐이다!(랜디 올슨)

2장. 창작하는 이공계 인재
여섯 번째 키워드 _ 탐구 정신 - 두려워할 것은 없다, 오로지 이해할 것이 있을 뿐(마리 퀴리)
일곱 번째 키워드 _ 발명 - 왜? 라고 질문하는 순간 놀라운 일이 시작된다(데니스 홍)
여덟 번째 키워드 _ 문제 해결 능력 - 결과보다는 과정을 즐겨라(존 찰스 필즈)
아홉 번째 키워드 _ 융합적 사고 - 생각의 틀을 허물고 관계없는 것을 모으는 힘을 키워라(스티브 잡스)
열 번째 키워드 _ 표현력 - 말이나 글로 생각을 표현하라(장 앙리 파브르)

3장. 공부하는 이공계 인재
열한 번째 키워드 _ 기록과 메모 - 메모는 나를 키운다(알렉산더 폰 훔볼트, 마이클 패러데이)
열두 번째 키워드 _ 발표와 논문 - 스스로를 발전시키는 과정(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열세 번째 키워드 _ 독서 - 독서는 책 쓴 사람의 전부를 만나는 것이다(빌 게이츠)
열네 번째 키워드 _ 과제 집착력 - 자신감을 가지고 몰입하라(리처드 파인만)
열다섯 번째 키워드 _ 함께 배우기 - 새로운 생각을 함께 만들어 가라(베르너 카를 하이젠베르크)

4장. 비전과 가치를 가진 이공계 인재
열여섯 번째 키워드 _ 나눔 - 나눌수록 가치는 커진다(배상민)
열일곱 번째 키워드 _ 끈기 - 끝까지 해내는 힘(나카무라 슈지)
열여덟 번째 키워드 _ 높은 이상 추구 - 환상을 현실로 만들라(니콜라 테슬라)
열아홉 번째 키워드 _ 기업가 정신 - 도전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라(일론 머스크)
스무 번째 키워드 _ 미래 예측 - 나의 미래 가치를 따져 보자

5장. 이공계 유망 분야
첫 번째 _ 소프트웨어 분야
두 번째 _ 바이오 분야
세 번째 _ 사물인터넷 분야
네 번째 _ 무인항공기 분야
다섯 번째 _ 미래 농업 분야
여섯 번째 _ 로봇 분야
일곱 번째 _ 해양 분야